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지속적으로 규제 완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. 금융당국이 전세사기 사태와 관련, 피해자들에 대한 금융지원으로 주택담보대출 비율(LTV)과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(DSR) 등 가계대출 규제에 대한 한시적 완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. 오늘은 LTV와 DSR에 대해 알아보자.

LTV(Loan To Value ratio)는
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다.
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
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을 말한다.
만약, 주택담보대출비율이 60%이고,
3억짜리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자 한다면
빌릴 수 있는 최대금액은 1억 8천만원(3억×0.6)이 된다.
대출을 많이 받기 위해선 LTV가 높은 것이 좋다.
주택담보 가치는 국세청이나 감정가액,
KB 부동산 시세 등
여러 공신력 있는 평가를 통해 결정된다.
금융기관에서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실행할 때,
담보물의 실제 가치에서 얼마나 많은 금액을
대출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방법을 뜻한다.
DTI(Debt To Income)는
총부채상환비율이다.
금융부채 상환능력을 소득으로 따져서
대출한도를 정하는 계산비율을 말한다.
대출상환액이 소득의 일정 비율을 넘지 않도록
제한하기 위해 실시한다.
총부채상환비율, 즉 총소득에서
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.
EX) 연간 소득이 5000만 원이고 DTI를 40% 설정할 경우
총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
2000만 원을 초과하지 않도록 대출규모를 제한하는 것이다.
DSR(Debt Service Ratio)는
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을 뜻한다.
1년간 버는 소득 대비 상환할 수 있는 금액을 말한다.
가령, 연소득 5천만원 기준 DSR이 50%라면
1년 간 대출 상환액은 2,500만원이 된다.
DSR은 대출금액, 기간, 금리 등
조건에 따라 다르게 산출되는데
예로, 대출금액이 1억원이고, 상환기간이 10년,
이자율이 4%인 경우,
월 상한금액은 1백 25만원이므로
만약 월 소득이 5백만원이라면 DSR은 25%가 된다.
DSR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빚을 기준으로
대출의 최대 상한선을 정한다.
DSR이 높으면 대출심사 시 불이익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.

보통 1금융권의 경우 DSR은 40%,
2금융권은 50%이며
이미 받은 대출액, 현재 받으려는 대출액,
차입자의 소득에 따라 DSR이 변동될 수 있다.
LTV가 높아서 대출을 받으려 할 때
DSR 규제 때문에 대출이 불가한 경우도 있고
LTV, DTI는 있지만
DSR의 규제가 없는 특례보금자리론 등의 상품도 있으니
대출 시에는 개인의 실제 소득과
금융권이 정하는 실제 소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
돈을 빌리기 전에 각 금융기관 별로 꼭 해당 사항들을 꼭 확인해야 한다.
.
.
👇DSR 계산기 바로가기

👉LTV 계산기
👉DTI 계산기
'Info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3년 청년내일저축 계좌(가입 조건, 혜택, 내용) 간단 정리. (24) | 2023.05.03 |
---|---|
2023년 우회전 규정 완벽 정리 (22) | 2023.05.02 |
분실물 찾기, 'LOST 112'에서 (31) | 2023.04.21 |
엠폭스란? 원숭이 두창 증상, 행동 수칙 (41) | 2023.04.19 |
스마트폰 배터리수명 늘리는 법 (40) | 2023.04.15 |